Poster Session
한국시간 기준 9/17, 목 16:00부터 on-demand available
1453P - Safety and efficacy of vactosertib, a TGF-βR1 kinase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paclitaxe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adenocarcinoma
전이성 위선암 환자의 2차치료로 백토서팁과 파클리탁셀의 병합요법의 1상 임상 데이터가 이번 ESMO에서 발표되었다.
학회에 등록하지 않아도 초록 정보는 누구든 접근이 가능하다.
초록 내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총 12명의 환자가 1상에 등록되어 (1상에서 제일 중요한) 용량제한 독성이나 심장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흔한 치료관련이상반응은 빈혈(58%), 식욕부진(42%), 피로(33%), 소화불량(33%)이 보고되었다.
1상 데이터라 크게 중요하지는 않겠지만 efficacy 결과로는,
무진행생존의 중앙값(mPFS) 5.5개월, 12개월째 ORR과 DCR은 각각 16.7%, 83.3%, 그리고 한 명의 환자에서 전체 반응은 PR(부분반응)이지만 target lesion은 완전관해를 보이는 결과를 보였으며 2명의 환자가 2020년 5월 기준으로 7번째 cycle과 11번째 cycle을 투약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번 ESMO에서 발표된 결과로 1상에서 백토서팁과 파클리탁셀의 내약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였으며, 2상이 현재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즉 전체 포스터는 학회 유료등록을 해야 볼 수 있다.
저작권때문에 업로드 하진 못하지만, 초록에는 나오지 않은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치들이 있다.
예를들어 12명의 환자 각각의 반응, 반응지속기간을 볼 수 있었는데, 1명이 PR(부분반응), 8명이 SD(안정병변), 그리고 3명은 질병진행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둘 중 하나에 오타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초록에서는 추정 mPFS가 5.5개월이라 되어 있었는데, 포스터에서 발표된 mPFS(무진행생존의 중앙값)는 4.4개월이었다.
아무래도 포스터는 그래프까지 있어서.. 포스터 숫자가 맞지 않을까 추측된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1b/2상 연구는 NCT03698825로 아래서 확인해볼 수 있다.
clinicaltrials.gov/ct2/show/NCT03698825?term=NCT03698825&draw=1&rank=1
TEW-7197 With Paclitaxel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Gastric Cancer - Full Text View - ClinicalTrials.gov
TEW-7197 With Paclitaxel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Gastric Cancer - Full Text View.
clinicaltrials.gov

현재 백토서팁으로 진행 중으로 알려진 임상은 IR에서 위와 같이 공개되어있다.
이 중 이번 ESMO에서 발표된 임상결과가 제일 첫번째 행인 위암연구인 것이다.
1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니, 2상도 순조롭게 진행되어 내년 혹은 내후년 업데이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워낙 병용요법으로 기대되는 약제이기 때문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봐야겟다.

'조금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체-약물 접합체 (ADC, Antibody-Drug Conjugate) (0) | 2020.09.30 |
---|---|
[SITC 2020] 메드팩토 백토서팁 관련 미국면역항암학회 일정 (0) | 2020.09.23 |
[ESMO 2020]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ESMO - 2상 간암 (RESCUE) 포스터발표 (0) | 2020.09.20 |
[ESMO 2020]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ESMO - 말초 T세포 림프종 mini oral (0) | 2020.09.19 |
[ESMO 2020] HLB 리보세라닙(아파티닙) 발표 자료 정리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