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금씩공부

[ESMO 2020]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ESMO - 2상 간암 (RESCUE) 포스터발표

by 짤랑2 2020. 9. 20.

Poster Session

한국시간 기준 9/17, 목 16:00부터 on-demand available

 

983P - Camrelizumab (C) in combination with apatinib (A)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RESCUE): An open-label, multi-center, phase II trial

 

이번 ESMO에서 리보세라닙(아파티닙)으로 총 18개의 포스터가 발표되었고 3개의 구두발표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주목되는 연구가 바로 간암에서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의 2상 임상인 RESCUE연구 결과가 아닐까 싶다.

 

지난 ASCO 2020에서 발표된 아파티닙의 2차 이상 치료제로서의 3상 연구 결과 발표가 big news이었는데, 이번에도 그에 못지 않은 수준의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다만 포스터 발표인 것이 아쉬울 뿐.

조금 놀라왔던 것은 간암 관련 포스터 발표의 대부분의 데이터가 중국이라는 것이다. 간암의 50%가 사실 중국인이기 때문에 놀랍지 않은 것일 수도 있으나, 중국산 신약이 진출하며 해당 질환에서 연구도 활발히 되는게 아닐까.

 

원래 ESMO에서 간암의 입지를 잘 모르겠지만.. 이번 ESMO의 간암 session은 oral로는 하나밖에 보이지 않으며, FOLFOX HAIC vs. TACE를 비교한 3상 연구로 이번주 일요일 한국시간으로는 19:30에 발표될 예정이다.

 

아파티닙과 캄렐리주맙의 2상 연구 결과는 NCT03463876연구의 결과로 자세한 연구의 design은 아래서 확인할 수 있다.

clinicaltrials.gov/ct2/show/NCT03463876?term=NCT03463876&draw=2&rank=1

A Trial of SHR-1210 (an Anti-PD-1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Apati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HCC(RESCUE) - Full Text View

A Trial of SHR-1210 (an Anti-PD-1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Apati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HCC(RESCUE) - Full Text View.

clinicaltrials.gov

 

결과를 간략히 소개하자면, 2020년 1월 10일 cutoff, RECIST 1.1평가 기준으로 1차 치료 코호트의 ORR(객관적반응률) 34%, 2차 치료 코호트의 ORR 23%를 보였으며 DCR(질병조절률)은 각각 77%, 76%, DOR(반응지속기간)은 1차 치료 코호트 14.8개월, 2차 치료 코호트는 도달하지 않음. PFS는 각각 5.7개월, 5.5개월을 보임

 

이후 추가 추적하여 생존분석한 결과도 있었는데, 1차 치료는 2020년 4월 9일 기준, 2차 치료는 2020년 6월 3일 기준으로 데이터 절단하여 분석하였다. 해당 결과 1차 코호트는 중앙 전체생존 20.3개월, 2차는 도달하지 않은 상태

 

현재 경쟁품으로는 이미 3상 결과가 나와 FDA허가도 받은 로슈의 티센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이 있으며, 아직 3상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1b상 데이터로 신속승인을 받으려 했으나 보류된 msd의 펨브롤리주맙+eisai의 렌비마 병용요법이 있다.

 

티센트릭+아바스틴의 소세포폐암은 중국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으나, 아직 간암의 소식은 모르겠다. 어쨌건 중국 population이 많이 포함되었고 해당 데이터만 따로 발표도 했으니, 곧 허가소식이 들리지 않을까?

아파티닙 또한 작년, 2019년 4월에 병용요법(아파티닙+캄렐리주맙) 3상 임상연구의 FDA승인을 받았으니.. 빠르면 내년? 즈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Apatinib으로 간세포성암에서 진행 중인 연구 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