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미국기업] 일루미나 (illumina) 사업 매출 지난 번 일루미나에 대한 포스팅에 이어 일루미나의 매출이 어떻게 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일루미나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3Q 분기보고서의 2. REVENUE (매출) 부분을 보면 아래와 같다. 간략히 요약해보자면 일루미나의 매출은 다음 세 가지로 크게 정리할 수 있다. 1) 제품 수익: Sequencing 기계와 Microarray 로 나뉘어 위 표에 나와 있음 2) 소모품: 사용자 입장에서 기계를 산다고 땡이 아니다. 분석을 하려고 기계를 돌리는데 사용되는 소모품이 있다. 정수기를 산다고 끝이 아니라 필터를 매번 갈아야하지 않는가.. 그렇게 생각하면 쉽다. 1)+2) : Total product revenue 총 제품 매출 3) 서비스와 기타 수익: 유전자분석을 해주는 서비스, 기계서비스 (아마도.. 2020. 12. 29.
메드팩토 백토서팁(Vactosertib) FDA 희귀의약품 지정과 그 의의 3일전, 29일 아침 메드팩토 백토서팁의 FDA 희귀의약품 지정 뉴스가 떴다. 당일, 그리고 다음날 까지는 FDA페이지에서 검색이 안되다가 오늘 드디어 FDA페이지에 뜬 걸 확인할 수 있었다. FDA는 매달 ODD지정된 품목을 업데이트한다는 내용을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10월 1일자로 업데이트 된 것이 아닐까 싶다. 궁금하신 분들은 직접 아래 사이트에서 검색해볼 수 있다. www.accessdata.fda.gov/scripts/opdlisting/oopd/ Product name에 vactosertib입력하고 검색 날짜를 9/28이후까지로 지정하여 검색하면 9월 28일자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아래와 .. 2020. 10. 2.
항체-약물 접합체 (ADC, Antibody-Drug Conjugate) 항체-약물 접합(ADC, Antibody-Drug Conjugate) 치료제는 말 그대로 항체에 약물을 붙여놓은 약제이다. 마법의 탄환(magic bullet)이라 불리는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처럼, 항체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targeting할 수 있는 약제이다. 대표적인 예로 로슈의 허셉틴(trastuzumab), 맙테라(rituximab)과 같은 약제들이 있다. 이들처럼 사실 항체 자체로서 치료제로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ADC는 이러한 항체의약품에 폭탄(payload)을 붙여 놓았다고 보면된다. 여기서 폭탄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항암화학요법 약물(키모테라피, chemotherapy) 인데, 강력하지만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많은 애들이다. 그런데 이.. 2020. 9. 30.
[SITC 2020] 메드팩토 백토서팁 관련 미국면역항암학회 일정 백토서팁은 지난 ESMO 2020 에서의 위암 phase 1a 발표에 이어 다가오는 11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1) 백토서팁+임핀지 - 비소세포폐암환자 대상 2a상 중간결과 2) 백토서팁+키트루다 - 대장암환자 대상 biomarker 분석결과 즉 아래 진행 임상 파이프라인 중, 빨간 박스 두가지에 대한 중간 결과, 바이오마커 분석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록이 공개되어야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알겠지만, 미리 학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면 좀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itcancer.org/2020/abstracts/abstract-informationSubmit Your Research to SI.. 2020. 9. 23.
[ESMO 2020] 메드팩토 백토서팁(Vactosertib) ESMO - 위선암, phase 1b 결과 포스터 발표 Poster Session한국시간 기준 9/17, 목 16:00부터 on-demand available1453P - Safety and efficacy of vactosertib, a TGF-βR1 kinase inhibitor, in combination with paclitaxe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adenocarcinoma 전이성 위선암 환자의 2차치료로 백토서팁과 파클리탁셀의 병합요법의 1상 임상 데이터가 이번 ESMO에서 발표되었다.학회에 등록하지 않아도 초록 정보는 누구든 접근이 가능하다. 초록 내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총 12명의 환자가 1상에 등록되어 (1상에서 제일 중요한) 용량제한 독성이나 심장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20. 9. 20.
[ESMO 2020]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ESMO - 2상 간암 (RESCUE) 포스터발표 Poster Session한국시간 기준 9/17, 목 16:00부터 on-demand available 983P - Camrelizumab (C) in combination with apatinib (A)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RESCUE): An open-label, multi-center, phase II trial 이번 ESMO에서 리보세라닙(아파티닙)으로 총 18개의 포스터가 발표되었고 3개의 구두발표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주목되는 연구가 바로 간암에서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의 2상 임상인 RESCUE연구 결과가 아닐까 싶다. 지난 ASCO 2020에서 발표된 아파티닙의 2차 이상 치료제로서의 3상 연구 결과 발표가 big n.. 2020. 9. 20.
[ESMO 2020]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ESMO - 말초 T세포 림프종 mini oral Mini Oral Session - Hematologic malignancies한국시간 9/18, 금 16:00부터 on-demand available 893MO - An open-label, single-center, phase II, single-arm trial of camrelizumab combined with apatinib in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peripheral T-cell lymphoma HLB의 rivoceranib(Apatinib)과 camrelizumab 의 PTCL(peripheral T-cell lymphoma)에서의 2상 임상결과가 ESMO2020에서 mini oral session으로 발표되었다. 중국에서 진행된 임상으로, 재.. 2020. 9. 19.
[ESMO 2020] HLB 리보세라닙(아파티닙) 발표 자료 정리 ESMO 2020, 리보세라닙(아파티닙) 관련 발표는 oral session으로 3개 그 외 18개의 포스터 발표가 있다. 하나씩 듣고 읽어보는대로 업데이트하고자 한다. ORALS 1. Mini Oral Session - Hematologic malignancies, 한국시간 9/18, 금 16:00부터 available 893MO - An open-label, single-center, phase II, single-arm trial of camrelizumab combined with apatinib in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peripheral T-cell lymphoma 2. Mini Oral Session - NETs and endocrine tumo.. 2020. 9. 19.
[일기] 정보의 홍수 속, 화장품 선택의 어려움 (feat. 갈락토미세스, 피테라에센스) #의식의 흐름 주의 엄마가 쓰는 화장품 샘플을 받아 바르던 20살이 지나고, 대학생부터 독립을 하여 살아오며 스스로 화장품을 골라서 사용해야했다. 늘 주변친구가 뭘 쓰는지, 신제품 등을 보며 유행에 휩쓸리고 광고에 휩쓸려 화장품을 선택해왔다. 사실 한 번도 성분이 뭘지, 나에게 맞는 성분일지에 대한 고민을 해본 적이 없다. 비전문가에게 복잡한 화장품성분들을 이해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영역이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화해나 디렉터파이와 같이 성분을 읽어주는 어플과 인플루언서들이 출현하고, 유투브에서 피부과의사들이 나와 화장품 분석을 해주면서.. 일반인들도 그들의 입을 통해 화장품을 조금 더 이해하기 쉬워졌으며 이제 지성인이라면 성분을 보고 사야할 것만 같은 분위기가 되는 듯 하다. 그럼에도 그들이 읽어주는 .. 2020. 9. 13.
Nominal p-value 논문을 읽다보면 '통계적 유의성'이라는 개념이 나오고 보통 p< 0.05를 기준으로 "statistically significant"하다고 표현한다. 하지만 실제 0.05라는 수치가 절대치처럼 받아들여지는 부분에 대해 통계학자와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다. 실제 임상데이터를 보는데 있어 p-value가 아슬아슬 0.05를 넘어갈 때 솔직히 너무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그럴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0.05값에 가까이 있음을 괜시리 강조하게 된다... 최근 문헌을 읽다 nominal p-value라는 한국어로 뭐라 번역해야할지도 감이 잡히지 않는 개념이 나와 검색해보았다. Nominal p-value nominal p-value는 주어진 통계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된 관측된 유의성으로, 통.. 2020. 7. 27.